728x90

Pixabay로부터 입수된 Pexels님의 이미지 입니다.

여자들은 아이를 낳고 육아를 시작하면서

조리원 동기, 육아 동지를 만들고 정보공유, 공감대 형성 목적으로 무리를 형성을 한다. 

맘에 딱 맞는 사람 하나 있으면 좋으련만 

사회에서 만나기 어렵지..

 

조리원 모임도 시간이 지나 아이들이 커가고

아이 관심사도 달라지고 물리적 거리도 멀어지고 하면서 자연스럽게 와해되기도 한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겠지만.

 

여자들은 왜 끼리끼리 뭉칠까..

그리고 여자들은 왜 모이면 말이 많고 탈이 많아지는 것일까

 

한 동네, 같은 학교에 보내면서 다양한 엄마들을 만나며 아차 싶은게 많아졌다.

어디에서나 내 이야기, 내 아이이야기가 누구의 입을 통해서 나올 수도 있고 

내 아이도 완벽한 아이가 아니라는 것. 

남의 아이 욕하지 말것. 내 아이도 그러할 수 있음.

 

내가 한 말이 와전이 될 수도 있고

친하다고 생각했는데 아이들로 인해 멀어질 수도 있음.

몇년 간 이러한 것들을 느끼며 

그저 조심하게 되었는데 

적당히 거리를 두고 선을 지키자 했는데 또 헛헛함은 왜 느끼는 것인지.. 

 

"아이 친구 엄마라는 험난한 세계"에서 시절인연이라는 말이 나왔다.

어차피 이 시간들은 오롯이 나의 몫일 테고, 나는 나대로 겪어야 할 것은 또 겪으면서 한 시절을 보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나만의 시절인연들을 만나고 보내주게 될 것이다.
시절인연. 

 

이게 맞는 것 같다.

아이친구엄마는 내 친구가 될 수 없다. 물론 예외인 경우도 있다. 

그래서 결론을 내렸다.

적당한 거리 유지. 지금의 인연은 시절인연. 

운이 좋아 좋은 사람 만나면 정말 내 인연이 되겠지...

그런데 헛헛함은 어쩔 수가 없다.. 소속되고 싶나보다.

그런데 선배맘들 물어보니 의미 없댄다 너무 고민하지 말자.

 

부모가 함께 자라는 아이의 사회성 수업 - 이영민 저 

또래 부모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Q1. 엄마 모임에 꼭 참여해야 하나요?
초등입학부터 저학년 때까지 활발.
가급적 참여하도록 독려. 학부모 모임, 반모임에 참석하도록. 이후 소그룹 하나 정도 갖는게 좋음.

Q 2. 아이들끼리 다툰 후 엄마들의 관계가 서먹해졌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자녀 중심으로 맺어진 관계이기에 
어마가 친하면 아이도 친하다는 생각에 자신을 동일시 하기 때문
아이들 싸움이 어른들 싸움이 되지 않도록 어른스러운 처세.

자녀들의 싸움이나 갈등을 부모가 개입해서 해결하려는 태도를 줄이는 것이 중요.
혹시 서먹해졌다면 화해하려는 시도 해보기
상대가 기꺼이 받아주면 관계 회복, 거부한다면 그것도 받아들이기

Q 4. 일하는 엄마로서 다른 엄마들과 관계를 어떻게 만들어 가야 하나요?
저학년은 학교 학부모 공개수업에 꼭 참여하기.

728x90

+ Recent posts